‘쌈, 마이웨이’는 2017년 방영된 KBS 드라마로, 대단하지 않지만 묵묵히 살아가는 20~30대 청춘들의 꿈, 사랑, 현실을 담담하게 그려낸 작품이다. 주인공 고동만과 최애라는 오랜 친구 사이에서 연인으로 발전해가는 관계를 중심으로, 취업난, 비정규직, 꿈의 좌절과 재도전 같은 현실적인 문제들을 유쾌하게 풀어냈다. 이 드라마는 특별하지 않아 더 공감 가는 청춘들의 삶을 통해, 위로와 응원을 전하며 꾸준히 ‘현실공감 청춘드라마’의 대표작으로 회자되고 있다. 쌈도, 사랑도, 인생도 마이웨이로 간다는 메시지가 시대를 관통한다.
현실 청춘의 민낯
‘쌈, 마이웨이’는 화려한 배경이나 대단한 설정 없이도 깊은 인상을 남긴다. 그 이유는 바로 ‘현실’이다. 고동만은 과거 유망한 태권도 선수였지만, 지금은 해충방제 업체 직원으로 일한다. 최애라는 아나운서의 꿈을 품고 있지만, 현실은 백화점 안내데스크 직원이다. 그들의 현재는 흔히 말하는 ‘성공’과는 거리가 멀다. 그러나 드라마는 이 실패와 좌절을 비웃지 않고, 오히려 그 안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진정성과 용기를 응원한다.
이들은 비정규직, 연고 없는 도시생활, 부모의 기대, 반복되는 낙방 속에서도 자신의 길을 찾아 나간다. 특히 극 중 ‘남들이 뭐래도 내 길 간다’는 태도는 많은 시청자에게 큰 위로와 공감을 줬다. 드라마는 누구나 겪는 현실의 벽, 특히 한국 청년들이 맞닥뜨리는 생존의 문제를 로맨틱하게 미화하지 않고, 담담하게 풀어내며 오히려 더 큰 설득력을 지닌다. 청춘이란 무조건 찬란한 것이 아니라, 때로는 지치고 아프며 외로운 시간이라는 사실을 솔직하게 드러낸다.
‘쌈, 마이웨이’의 주인공들은 대기업 인턴도 아니고, 재벌도 아니다. 하지만 그들의 선택과 태도, 작은 변화들은 시청자에게 ‘그래, 나도 그렇게 살아도 괜찮다’는 용기를 준다. 이 드라마는 청춘을 미화하지 않고, 청춘을 있는 그대로 사랑하게 만든다.
꿈과 생존 사이
고동만과 최애라는 현실 속에서도 ‘꿈’을 포기하지 않는다. 동만은 태권도를 그만두었지만, 종합격투기 선수로 다시 링에 서기로 결심한다. 애라는 늦었지만 아나운서의 길을 다시 두드린다. 이 과정에서 이들은 무수한 편견, 실패, 조롱에 부딪히지만, 결국 자기만의 방식으로 길을 만들어 나간다. ‘생존’이 우선인 사회에서 ‘꿈’을 다시 꺼낸다는 것 자체가 용기이며, 드라마는 그 용기를 진심으로 응원한다.
꿈을 향해 나아가는 이들은 거창하지 않다. 합격 통지서를 받기보다, 작은 무대에 서는 것, 낯선 시합에 출전하는 것처럼 아주 사소하고 작지만 의미 있는 성취들을 하나하나 이뤄나간다. 이는 현실에서 우리가 겪는 도전과도 닮아 있어, 보는 이로 하여금 스스로의 삶을 돌아보게 만든다.
드라마는 “언제까지 생계에만 매몰되어야 하는가?”, “내가 원하는 삶은 무엇인가?” 같은 본질적인 질문을 던진다. 그리고 그 답은 거창한 성공이 아니라, ‘나다운 삶’을 꾸준히 살아내는 태도에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쌈을 벌이더라도, 마이웨이로 간다는 이 메시지는 많은 청춘들에게 큰 위로이자 격려로 작용했다.
우정에서 사랑으로
‘쌈, 마이웨이’의 또 다른 중심축은 고동만과 최애라의 로맨스다. 20년 지기 절친이었던 두 사람은 서로의 곁에서 수많은 시간을 함께 보내며 때론 친구로, 때론 연인처럼 살아왔다. 하지만 어느 순간, 이들의 관계는 미묘하게 바뀌기 시작한다. 서로를 너무 잘 알아서 더 어렵고, 너무 가까워서 더 긴장되는 이 관계는 많은 시청자에게 ‘우정과 사랑 사이’의 고민을 실감나게 전달한다.
드라마는 이들의 감정을 천천히, 그러나 정직하게 따라간다. 질투, 오해, 침묵, 후회... 그 모든 감정의 파동 속에서 이들은 결국 사랑을 선택한다. 그러나 이 사랑은 달콤하거나 이상적인 사랑이 아니다. 서로의 아픔과 상처, 불완전함까지 껴안고 함께 살아가려는 ‘현실적인 연애’다. 그래서 더 애틋하고 공감이 된다.
그 외에도 주위 인물들의 관계 역시 눈길을 끈다. 장예진과 김주만 커플은 오랜 연애의 권태와 직장 내 관계에서의 갈등을 보여주며, 연애가 현실과 충돌할 때 어떻게 흔들리는지를 사실적으로 그린다. 다양한 커플 서사는 다양한 사랑의 형태를 보여주며, 연애 역시 생존과 감정 사이에서 타협이 필요한 현실이라는 점을 섬세하게 짚는다.
‘쌈, 마이웨이’는 연애를 도피처가 아닌 성장의 일부로 그린다. 사랑을 통해 더욱 단단해지고, 함께하는 삶의 태도를 배워나가는 이들의 모습은 ‘함께 싸워주는 연인’이 무엇인지 보여준다. 그리고 이 사랑은 곧 인생을 지탱하는 가장 든든한 힘이 된다.